![[자료 금융감독원]](http://www.fetv.co.kr/data/photos/20220415/art_16497394173239_0095fa.jpg)
[FETV=권지현 기자]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 금액이 9000억원을 넘어서며 또다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특히 20대의 보험사기가 눈에 띄게 늘었다.
1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보험사기 적발 현황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지난해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은 9434억원으로 1년 전보다 448억원(5%) 증가했다. 적발금액은 최근 3년 새 매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사고내용 조작 유형이 60.6%(5713억원)를 차지했고, 고의사고 16.7%(1576억원), 허위사고 15.0%(1412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적발 인원은 9만7629명으로 전년보다 1.2% 감소했다. 같은 기간 1인당 적발 금액은 970만원으로 6.3% 늘었다. 유형별로는 진단서 위변조 등 사고내용 조작이 60.6%(5713억원)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고의사고 16.7%(1576억원), 허위사고 15.0%(1412억원) 순이었다.
![[자료 금융감독원]](http://www.fetv.co.kr/data/photos/20220415/art_16497394177222_cb24b6.jpg)
연령별로는 50대가 2만2488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50대 비중은 2019년 25.9%에서 2020년 24.9%, 지난해 23.0%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반면 20대는 1만3881명이 적발돼 2년 전보다 33% 늘어 비중이 2019년 15%에서 작년 19.0%로 높아졌다. 20대 보험사기의 대부분(83.1%)은 자동차보험 사기에 집중됐다. 보험사기 유형은 고의충돌(39.9%), 음주·무면허사고(12.6%), 운전자바꿔치기(8.2%) 등 순으로 나타났다.
보험 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8879억원으로, 전년보다 8.1% 늘며 전체의 94.1%를 차지했다. 생명보험 적발금액은 555억원으로, 코로나19로 허위 입원 감소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8% 줄어든 5.9% 수준이었다.
보험사기 적발 인원의 69.2%가 남성이며, 직업은 회사원(19.2%), 무직·일용직(12.6%), 전업주부(11.1%), 학생(4.1%) 등 순으로 많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기로 인한 재정 누수 등 국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경찰청과 건보공단 등 관계기관과 공조해 조직형 보험사기 등에 대한 조사와 적발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