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공동교섭단이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이 임금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FETV]](http://www.fetv.co.kr/data/photos/20220207/art_1644986665537_bb1532.jpg)
[FETV=김현호 기자] “무노조 경영 폐기 약속 이후 삼성전자는 달라지지 않았다”
삼성전자 공동교섭단은 16일 오전 10시,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회사의 ‘무노조 경영 폐기’ 약속을 이같이 평가했다. 공동교섭단은 사측과 지난해 하반기부터 15차례에 걸쳐 2021년 임금협상 교섭을 이어왔지만 합의점을 못 찾은 상태다. 이들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현호 사업지원TF팀 부회장이 직접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며 파업까지 시사했다.
공동교섭단은 삼성전자 임금교섭안을 반대한 배경에 대해 “노조는 포괄임금제 폐지, 격려금, 휴식권 보장과 위험수당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노조가 요구한 44개 조항 중 단 한 건도 수용하지 않았고 이와 거리가 먼 종합발전기금 3000만원 등만 제시했다”며 “해당 제시안은 삼성전자 직원을 꼭두각시 삼으려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동안의 협상에서 사측은 소극적으로 일관해 왔다”며 “회사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고무줄 형식에 그쳤고 성과급을 경상 이익에 맞게 바꿔야 한다”고 전했다.
이들은 또 “삼성전자 최고경영진과 노동조합 간의 공개 대화를 요청한다”며 “그동안 사측 교섭위원들은 자신들이 권한도 정보도 없다고 노조에 밝혀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삼성전자 최고경영진이 책임지고 직접 노동조합과 공개 대화를 해야 한다”며 "삼성전자는 교섭 책임을 의도적으로 피하는 것이 아니라면 책임자인 이재용·정현호 부회장이 직접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동교섭단은 임직원들의 임금 격차를 축소하기 위해 계약연봉을 정률(%)로 인상하는 것이 아니라 정액(원) 인상을 요구한 상태다. 공동교섭단에 따르면 CL4 직급 10년차 직원의 월급은 600만원에 달하지만 CL1 직급은 200만원에 불과하다. CL 직급은 삼성전자가 지난 2017년부터 직급 단계를 단순화하기 위해 도입한 인사제도로 기존 7단계(사원1·2·3, 대리, 과장, 차장, 부장)를 4단계(CL1∼CL4)로 단순화했다.
삼성전자사무직노조, 삼성전자구미지부노조, 삼성전자노조동행, 전국삼성전자노조으로 구성된 공동교섭단은 2020년 단체교섭을 공동으로 진행하기 위해 설립됐다. 공동교섭단 에 따르면 노조 조합원은 4800여 명이다. 이는 전체 직원(약 11만명) 중 4% 수준이다. 이들은 향후 조합원 찬반 투표를 거쳐 파업까지 시사한 상태다.
이날 이현국 전국삼성전자노조 비상대책위원장은 "대표이사와 언제든 만날 생각이 있지만 협상이 진행되지 않는다면 삼성전자 노조뿐 아니라 다른 계열사 노조까지 함께 연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노조가 실제로 파업을 하게 되면 삼성전자에서는 1969년 창사 이래 53년 만에 첫 파업이 된다. 다만, 전체 조합원은 사무직·서비스직으로 제한돼 있다. 파업이 현실화 되더라도 전체 사업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공동교섭단은 ▲전 직원 계약연봉 1000만원 일괄 인상 ▲매년 영업이익 25%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는 ▲조합발전기금 300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및 임직원 휴식권에 관한 제도 개선 등과 노조와 별개인 사내 자율기구 노사협의회는 기본인상률 4.5%, 성과인상률 3%를 합한 총 7.5% 인상을 제시한 상태다.